'학점은행제/데이터베이스'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0.11.11 데이터베이스 요약 - 2
  2. 2020.11.11 데이터베이스 요약 - 1

데이터베이스 요약 - 2

학점은행제/데이터베이스 2020. 11. 11. 13:16

 

 - 데이터 모델 -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모형


 추상화를 제공함으로써 여러 사용자들이 각자 선호하는 수준에서 데이터를 볼 수 있음




 -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




 - 데이터 모델의 분류 -


 물리적 데이터 모델 (저수준 데이터 모델) : 어떻게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는지에 대한 세부사항을 명시하는 개념을 제공


 개념적 데이터 모델 (고수준 데이터 모델) : 사용자들이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을 제공


 표현 데이터 모델 (구현 데이터 모델) : 고수준 모델과 저수준 모델 사이에 존재함, 일반 사용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개념을 제공함




 - 데이터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명시하며 자주 변경되지 않음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내부, 개념, 외부 스키마로 나뉜다.


 외부 스키마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는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할 수 있으며, 하나의 외부 스키마를 

 

 여러개의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공용할 수도 있음


 개념 스키마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 단순히 스키마라고 하면 개념 스키마를 의미함.


 내부 스키마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레코드의 물리적인 구조를 정의하고, 저장 데이터 항목의 표현 방법, 내부 레코드의 순서등을 나타냄





 - 데이터베이스 언어 -

 

 데이터 정의 언어 (DDL)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구축하거나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외부 스키마를 정의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물리적 구조 및 구조 간의 사상을 정의

 

 데이터 조작 언어 (DML)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를 검색, 삽입, 삭제 수정할 수 있게 하는 조작 언어


 일반적으로 질의 언어라고 불림

 데이터 제어 언어 (DCL)

 

 보안 및 권한 제어, 회복등을 하기 위한 언어


 불법적인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데이터 보안 설정


 데이터 정확성을 위한 무결성 제약조건 설정


 시스템 장애에 대비한 데이터 회복과 병행수행 제어

 




- DBMS의 분류 기준 -


 데이터 모델 : 관계, 네트워크, 계층, 객체관계 등


 사용자 수 : 단일 사용자, 다수 사용자 시스템


 사이트 수 : 중앙집중식, 분산 DBMS


 DBMS 비용


 접근 경로 유형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학점은행제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요약 - 1  (0) 2020.11.11
:

데이터베이스 요약 - 1

학점은행제/데이터베이스 2020. 11. 11. 12:57

 - 데이터 베이스의 정의 -


 특정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상호 관련된 데이터들의 모임


 통합데이터, 저장데이터, 운영데이터, 공유데이터


 통합 데이터 (Integrated data) : 자료의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저장 데이터 (Stored data) :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 자료


 운영 데이터 (Operational data) : 조직의 고유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필수적인 자료


 공용 데이터 (Shared data) :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자료




 - 데이터 베이스의 특징 -


 실시간 접근성 : 수시적이고 비정형적인 질의에 대해서 실시간 처리에 의한 응답이 가능해야 한다.


 계속적인 변화 :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 삭제, 갱신으로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해야 함


 동시 공용 :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함


 내용에 의한 참조 : 데이터를 참조할때 데이터 레코드의 주소나 위치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내용의 데이터를 찾음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관리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드록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모임


 다양한 응용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정의, 생성, 조작, 공유할 수 있도록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범용 소프트웨어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S) -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자료를 저장하고 관리하여 정보를 얻어내는데 필요한 컴퓨터 중심의 시스템


 Database 카탈로그 (Catalog)에는 메타 데이터(Meta-data)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하나의 DBMS가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할 수 있음.


※ 메타 데이터란?

 

데이터베이스 그 자체에 대한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간에 구분이 가능하게 만드는 데이터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장점과 단점 -


 장 점

 

 1. 데이터의 논리적, 물리적 독립성이 보장됨.


 2. 데이터의 중복을 피할 수 있어서 기억공간이 절약됨.


 3. 저장된 자료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음.


 4.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음.


 5.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음.


 6. 보안을 유지할 수 있음.


 7. 데이터를 표준화 할 수 있음.


 8. 데이터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음.


 9. 항상 최신의 데이터를 유지함.


 10.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가 가능함.


 단 점

 

 1. 데이터베이스 전문가가 부족함.


 2. 전산화 비용이 증가


 3. 대용량 디스크로의 집중된 접근에 의해 과부하 발생 가능성이 있음

 

 4. 백업과 회복 절차가 어려움


 5. 시스템이 복잡함.







'학점은행제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요약 - 2  (0) 2020.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