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4.30 DBMS를 조작할 때 필요한 기본 지식
Back-End/Data Base 2019. 4. 30. 20:38-커넥션-
로그인해서 프롬프트가 표시되었다는 것은 로그인 전과 로그인 후로 사용자와 MySQL의 관계가 변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용자와 MySQL이 접속되었다. 즉 연결되었다는 뜻입니다.
이 연결이라는 것을 시스템 세계에서는 '커넥션' 이라고 부릅니다.
-프롬프트란?-
'사람에게 무언가를 하라고 재촉할때 사용하는 말' 입니다.
따라서 'mysql>'이란 MySQL이 사용자를 향해서 '명령을 입력하라'고 재촉하는 것입니다.
또한, 프롬프트 문자열은 DBMS의 설정을 수정하면 사용자가 좋아하는 문자열로 바꿀 수 있습니다.
-커넥션의 상태를 조사하는 명령-
mysql> show status like 'Threads_connected';
|
-로그오프-
전화를 거는 것이 '로그인'이라면 전화를 끊는 것에 해당하는 행위는 '로그오프' 입니다.
로그오프를 하면 MySQL과의 커넥션이 끊어집니다.
로그오프 명령은 프롬프트 상태에서 'quit'라고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면 간단하게 실행됩니다.
mysql> quit
Bye
|
-관리 명령이란?-
DBMS는 SQL이외에도 다양한 용도의 명령어를 준비해 두고 있는데, 이것을 '관리 명령' 이라고 합니다.
관리 명령은 DBMS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감시하거나 DBMS가 이상한 동작을 할 때 문제 해결을 위해
정보수집을 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합니다.
해당 명령의 목록은 DBMS의 메뉴얼에 기재되어 있고, 래퍼런스 문서도 있어서 이를 읽어보면 어떠한 정보를 어떤
명령어로 얻을 수 있는지는 알 수 있습니다.
관리 명령에서 중요한 점은 2가지 입니다.
*DBMS는 SQL 문 이외에도 '관리 명령'이 있다.
*관리 명령의 종류나 문법은 DBMS에 따라 다르다.
|
-SQL 문과 관리 명령의 구분법-
*SQL문은 반드시 'SELECT, INSERT, DELETE, UPDATE' 중 하나의 단어로 시작한다.
*이 외의 단어로 시작한다면 관리 명령이다.
(물론 예외도 있다. CREATE, DROP 등등)
|
-스키마-
데이터베이스에서 폴더에 해당하는 개념.
'틀' 이라는 의미입니다.
테이블은 실제로 몇 개의 스키마 속에 저장되는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스키마도 폴더처럼 사용자가 자유롭게 만들 수 있어서 용도별로 나누거나
보여주고 싶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접근할 수 없도록 제한을 건 스키마를 만드는 등의
관리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스키마의 상위에는 또 하나의 계층으로 '데이터베이스'가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계층'을 표시하는 의미도 있기 때문입니다.
-인스턴스-
데이터베이스보다 한 층 더 위에 있는 '인스턴스'란 개념이 있습니다.
이것은 물리적 개념으로, DBMS가 동작할 때의 단위입니다.
그래서 OS 입장에서는 '프로세스' 라고도 부릅니다.
DBMS에 따라서는 이것을 '서버 프로세스' 또는 단순히 '서버'로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계층 구조-
3계층 : 인스턴스 -> 스키마 -> 테이블 (Oracle, MySQL)
4계층 : 인스턴스 -> 데이터베이스 -> 스키마 -> 테이블 (SQL Server, DB2, PostgreSQL)
|
'Back-End > Data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05.03 트랜잭션과 동시성 제어 (0) | 2019.05.03 |
---|---|
데이터베이스 외부 관리 툴 설치 (HeidiSQL 설치) (0) | 2019.05.01 |
19.04.29 데이터베이스와 아키텍처 구성 (0) | 2019.04.29 |
SQL 예제 (0) | 2019.04.29 |
19.04.27 데이터베이스에 얽힌 돈 이야기 (0) | 2019.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