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sql export 및 import
Back-End/Data Base 2019. 9. 3. 11:091. SQL Developer 을 실행해서 도구 -> 데이터베이스 export를 선택
2. sqldeveloper에 등록해둔 계정(schema) 중에서 작업할 계정을 선택
3. DDL export 부분을 체크하면 스크립트가 만들어지는데 고려해야될 사항들이 몇가지 있다.
- 스키마 표시(S) : 스크립트에 현재 스키마가 포함되어 생성됩니다. 옮기려고 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스키마(아이디)가 다르다면 체크를 해제 하면 되겠습니다. - 저장 영역(G) : 스크립트에 테이블스페이스와 storage 관련 구문들이 포함되어 집니다. 옮기려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스페이스가 다르다면 생성 후 수정을 하거나, 체크를 해제 하고 생성해서 테이블스페이스 부분은 수동으로 추가해서 사용해야 겠습니다. 만약 옮기려는 데이터베이스 버전이 현재 데이터베이스와 다르다면(11g 에서 10g 로 옮기는 등) storage 지정 구문이 달라서 import 시 문법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스크립트 생성후에 직접 수정하여 사용하여야 겠습니다. |
4. 데이터 export 부분을 체크하고 설정합니다. 형식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insert : 데이터를 insert sql 문으로 만들어 줍니다. 주의할 사항은 테이블에 CLOB 타입의 필드는 제외 됩니다. * csv : 데이터가 콤마로 분리된 텍스트파일로 만들어 줍니다. * excel 2003+(xlsx) : 엑셀 .xlsx 파일로 만들어 줍니다. * excel 95-2003(xls) : 엑셀 .xls 파일로 만들어 줍니다. * loader : SQL Loader 용 컨트롤 파일과 데이터 파일로 만들어 줍니다. |
5. 다른 이름으로 저장 (V) 을 선택합니다.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 단일 파일 : 익스포트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 줍니다. 형식이 insert 일때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별도의 파일 : 테이블, 제약사항 등 모두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별도의 파일로 만들어 줍니다. 데이터는 테이블 별로 별도의 파일에 생성됩니다. - 유형 파일 : 테이블, 인덱스, 제약사항 등 유형별 파일로 생성스크립트를 만들어줍니다. 데이터는 테이블 별로 별도의 파일에 생성됩니다. |
7. 인코딩 유형은 백업일 경우 현재 데이터베이스의 캐릭터셋에 맞추고 옮기는 경우는 대상 데이터베이스의
캐릭터셋에 맞추면 되겠습니다.
8. 파일(F) 항목에서 생성될 파일 이름을 저장합니다. insert 형식에서 단일 파일로 저장할 경우 파일명을 지정하고,
별도의 파일이나 유형 파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폴더를 지정합니다.
9. 다음 단계는 export 단계로 표준객체 유형에서 export 할 항목만 체크하면 됩니다.
10. 다음으로 export할 객체를 지정하는 단계이다.
상단의 조회를 눌러서 보여지는 리스트중에서 선택하고, 화살표를 사용해서 export할 자료를 선택하면 된다.
11. 다음 단계는 테이블 데이터중에 특정열을 선택해서 export할 수 있는데, 테이블의 열 항목을 클릭하면
연필 모양의 아이콘이 생기는데 거기서 export할 열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로 선택하지 않았을 시에는 전체 export가 됩니다.
12. 완료를 눌러서 export를 하면 된다.
import 하는 방법
만들어진 sql파일을 그대로 드래그해서 insert를 하면 된다.
출처
'Back-End > Data 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위 n개의 데이터만 뽑고 싶을 경우 (0) | 2019.09.25 |
---|---|
오라클에서 조건문 사용 (0) | 2019.09.04 |
오라클 db export 방법 (0) | 2019.08.31 |
기본키 - 자연키, 인조키 (1) | 2019.07.16 |
외래키의 사용 - 식별관계와 비식별관계 (0) | 2019.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