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련 이해 - 2
Back-End/네트워크 2020. 11. 10. 18:50
IPv4란 ?? IPv4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4 의 약어로, 인터넷 프로토콜의 4번째 버전이다.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첫 번째 인터넷 프로토콜로, IETF (인터넷 표준화 기구) RFC 791 (1981년 9월) 에 문서화되어 있다. 또한 IPv6를 제외하고,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프로토콜이다. 한편 인터넷 프로토콜 (IP : Internet protocol) 은 인터넷상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일컫는다. 인터넷상의 각 컴퓨터, 즉 호스트들은 다른 컴퓨터와 구별될 수 있드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유한 주소를 갖는다. IPv4의 주소체계는 네 개로 나눠진 최대 12자리의 번호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210.113.39.224' 이다. 32비트로 이루어진 IPv4는 최대 약 40억 개의 서로 다른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사용자 수요를 감안할 때,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v4 체계로는 개수가 부족해서 수요를 충족 시킬수 없다. 그에 따라서 128비트 주소체계를 갖는 IPv6가 등장하였다. |
IPv6에 대해서
IPv6란 ?? 무한히 제공 가능한 IP 주소 IPv4는 약 43억개의 주소가 이용 가능한 반면, IPv6는 거의 무한대의 주소 할당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네트웍 연결이 필요한 모든 디바이스에 독립적인 IP 주소를 부여하여 차세대 PC, RFID, 텔레매틱스, USN 같은 새로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주소 할당이 가능하다. |
IPv6와 IPv4의 특성 비교
보안 기능 강화 IPv6는 전자상거래의 가능성을 확대하는 동시에 전자상거래 트랜잭션에 대한 신뢰도를 강화하는 보안표준을 응용에 도입한다. IPv4는 설계시 보안은 고려되지 않았으며 이후 IPsec등의 표준이 추가됨 IP 주소의 자동 설정 기능 IPv6의 노드는 주소 자동설정기능을 사용하여 로컬 IPv6 주소를 자체적으로 생성한다. 이 경우 LAN 상의 MAC (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네트워크 라우터가 제공한 프리픽스와 결합하여 고유의 IP 주소를 생성한다. 서버가 주소를 승인하거나 배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서버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이를 위한 숙련된 인력이 더 이상 필요 없기 때문에 기업의 네트워크 관리 및 유지 비용이 감소된다. |
IPv6 주소의 종류
유니캐스트 (Unicast) 유니캐스트 주소는 유니 캐스트 주소 종류의 범위 내에서 단일 인터페이스를 식별한다. 유니 캐스트 주소로 지정된 패킷은 적절한 유니 캐스트 라우팅 토폴로지를 통해 단일 인터페이스로 배달된다. 로드 균형 시스템 (Load Balancing System) 을 수용할 수 있드록 여러 인터페이스가 호스트에서 IPv6에 대한 단일 인터페이스로 나타나기만 한다면 이들 인터페이스가 동일한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유니캐스트 전송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가 다른 하나의 수신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인터넷 응용프로그램이 모두 유니캐스트 방식을 사용한다. 멀티캐스트 (Multicast) 멀티캐스트 주소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식별한다. 멀티캐스트 주소로 지정된 패킷은 적절한 멀티캐스트 라우팅 토폴로지를 통해 주소로 식별되는 모든 인터페이스에 배달된다. 브로드캐스트 전송방식은 하나의 송진자가 같은 서브네트웍 상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인 반면 멀티캐스트 전송방식은 하나 이상의 송신자들이 특정한 하나 이상의 수신자들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실시간 음성, 화상 회의, 게임,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등에 사용될 것이다. 애니캐스트 (Anycast) 애니 캐스트 주소로 지정된 패킷은 적절한 멀티캐스트 라우팅 토폴로지를 통해 주소로 식별되는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인 단일 인터페이스로 배달된다. "가장 가까운" 인터페이스란 라우팅 거리가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멀티캐스트 주소는 여러 인터페이스로 배달되는 일 대 다 통신에 사용되며, 애니 캐스트 주소는 단일 인터페이스로 배달되는 일 대 일 통신에 사용된다. 모든 경우에 IPv6 주소는 노드가 아닌 인터페이스를 식별한다. 노드는 해당 인터페이스 중 하나에 할당된 유니 캐스트 주소로 식별된다. |
IPv6의 장점 1. 확장된 헤더에 선택사항들을 기술할 수 있으며, 이것은 수신지에서만 검색되므로 네트웍 속도가 전반적으로 빨라진다. 전체 헤더 길이는 두배로 늘었지만, 헤더 필드의 수를 12개에서 8개로 단순화 시킴으로써 헤더 처리 속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2. IPv4 헤더의 옵션 필드에서 사용되던 헤더들을 확장헤더 형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전송 경로상의 포워딩 효율이 높아졌고, 향후 확장헤더들을 이용한 새로운 응용서비스의 적용을 위한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IPv6 에서는 자동적으로 주소 설정이 가능한 자동 네트워킹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주소를 재 설정하는 절차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였다. 4. IP주소를 32비트에서 128비트로 확장함에 따라 주소공간이 크게 증가하고 체계적으로 주소를 할당할 수 있도록 주소 체계를 개선하였다. 또한 멀티 캐스트 주소 체계를 강화하고 멀티캐스트 라우팅의 확장성이 향상도었다. 5. IPv6 에서는 인증, 보안 관련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보안 관련 확장 헤더를 규정하고, 보안 기능을 반드시 구현하여야 할 기본 기능으로 채택함으로써, 보안 서비스 제공을 위한 효율을 향상시켰다. 패킷의 출처 인증, 데이터 무결성의 보장 및 비밀의 보장 등을 위한 매커니즘을 지정할 수 있다. |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48168&cid=58469&categoryId=58469
'Back-End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련 이해 - 1 (0) | 2020.11.10 |
---|---|
ISO 7계층 정리 (0) | 2019.06.02 |